목차

쟁점: 현재의 이슈들

사회 재생산 이론: (어느) 마르크스로 돌아가기? *

MARX21

  • 출처: Sheila McGregor, ‘Social reproduction theory: back to (which) Marx?’, International Socialism 160

  1. 이 글은 광범한 토론의 산물이다. 특히 수 콜드웰, 알렉스 캘리니코스, 조셉 추나라, 케빈 코어, 개러스 젱킨스, 폴크하르트 모슬러, 로지 뤼닝, 커밀라 로일에게 대단히 감사하다.
  2. Vogel, 2017, px.
  3. 수전 퍼거슨은 교차성 페미니스트들을 두 집단으로 나눈다. 총체성 내에서 차별들이 구성됐다고 보는 이들과 차별이 서로 맞물린다고 보지만 총체성 내에 내재돼 있다고 보지 않는 이들이다—Ferguson, 2016. 내가 보기에, 첫째 집단에게도 자본주의 체제를 이해하는 데서 차별의 핵심 동인에 관한 모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4. 특권 이론과 교차성 이론에 관한 완전한 분석으로는 Choonara and Prasad, 2014를 보시오.
  5. 데이비드 맥낼리는 사회 재생산 이론의 발전을 “자본주의 사회 내의 여러 차별들에 관한 역사 유물론적 이론에 관심 있는 이들을 위한 가장 유망한 관점”이라고 본다—McNally, 2017, p94.
  6. 페미니즘의 “물결”을 언급하는 것이 관행이다. 내가 보기에 이는 여러 운동들 사이의 진정한 차이를 뭉개는 것으로 이어진다. 여성해방운동 혹은 “제2물결 페미니즘”이 사회주의를 위한 투쟁의 일부로 간주됐던 것과는 달리 주류 여성참정권 운동 혹은 “제1물결 페미니즘”은 자본주의를 타도하려는 운동이 아니었다. “물결”이라는 용어는 계급의 중심성과 자본주의에 맞선 투쟁을 사라지게 만드는 구실만 하며, 여성운동이 마치 등장했다가 해안에 부딪혀 사라질 파도와 같다는 인상을 준다.
  7. Vogel, 2014. 원래 1983년에 출판된 이 책은 수전 퍼거슨과 데이비드 맥낼리의 서문과 함께 재출판됐다.
  8. Lebowitz, 2003; Bhattacharya, 2017a, b and c.
  9. 바타차리아는 베를린에서 열린 ‘Marx is Muss 2018’에서 현재 투쟁들의 성격에서 제기되는 사회 재생산 이론에 대한 광범한 관심을 설명했다. 강연 영상은 [‘Marx is Muss 2018’ 개최 단체인-번역자] 마르크스21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www.marx21.de/das-war-marx-is-muss-2018-videos/를 보시오.
  10. Fine, 2017
  11. Bhattacharya, 2017b. 플루토 출판사는 바타차리아와 퍼거슨이 편집한 새 책 《사회 재생산 이론의 지도를 그리기》가 출간될 것이라 발표했다.
  12. Foster and Clark, 2018
  13. Barrett, 1980, pp258-259; Cliff, 1984, chapters 10 and 11; Mitchell, 1971, chapter 10; Rowbotham, 1977, postscript를 보시오.
  14. . Bhattacharya, 2017b, p6.
  15. Fine, 2017.
  16. Harmann, 1979; Mitchell, 1971.
  17. Brenner and Ramas, 1984 (reprinted in Brenner, 2000); Barrett, 1980. 이는 배럿의 생각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지만, 이 글의 목적상 브레너와 라마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18. Brenner and Ramas, in Brenner, 2000, pp27-32.
  19. German, 1989, p40. Cliff, 1984, Harman, 1984, McGregor, 2013과 Orr, 2015도 보시오. 가족과 여성 차별에 대한 이해가 독일 혁명가 클라라 체트킨의 글, 볼셰비키당의 실천, 1917년 이후 러시아의 초기 혁명 정부의 활동을 뒷받침했다.
  20. Brenner and Ramas, 1984, reprinted in Brenner, 2000, p27. 생산력의 변화가 가족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브레너와 라마스가 언급한 것은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다. 마찬가지로 1984년에 쓴 크리스 하먼의 분석을 보시오.
  21. Vogel, 2014, p144.
  22. Bruegel, 1978. 노동계급 가족이 노동계급의 재생산을 조직하는 유일한 방식이 아니라고 비슷하게 주장한 저먼과 하먼이 참조한 기준이 바로 브뤼겔의 분석이었다.
  23. Vogel, 2014, p145.
  24. Gimenez, 2005, p19. 기메네즈는 무엇보다도 엥겔스를 인용해서 “양식”이라는 용어 사용을 정당화하며 엥겔스와 비슷한 방식으로 그 용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과거의 다른 이들은 여성 차별을 분석하는 “이중체계”를 정당화하기 위해 엥겔스가 언급한 재생산양식을 사용해 왔다. 하트먼이 이렇게 사용한 것에 대한 비판으로는 Harman, 1984를 보시오.
  25. Gimenez, 2005, p20.
  26. Gimenez, 2005, p20. 이는 바타차리아와 리보위츠의 견해와 반대되는 것이다. 이후의 논의를 보시오.
  27. Harman, 1984, p9.
  28. Brenner and Ramas, 1984, reprinted in Brenner 2000, p29.
  29. 이 과정에 대한 더 상세한 분석으로는 German, 1989, part two를 보시오.
  30. 브뤼겔도 같은 지적을 한다—Bruegel, 1978.
  31. Brenner and Ramas, 1984, in Brenner, 2000, p29.
  32. Harman, 1984, p10. 모든 가족 구성원들을 노동 인구로 흡수하여 가능해진 잉여가치 증가에 관한 마르크스의 논평도 보시오—Marx, 1976, chapter 15, section three, p518.
  33. Vogel, 2014, pp161-162. 축적과 사회 재생산의 영향에 대한 더 많은 논의로 Vogel, 2014, pp159-161도 보시오.
  34. 간병인, 간호사 등이 대개 임금 노동자로서 사람들의 집에서 일하기 때문에, 이는 복잡한 영역이다.
  35. Moody, 2017, p20. 무디의 책에 있는 이 구절에 주목할 수 있게 해준 개러스 젱킨스에게 감사한다.
  36. Vogel, 2014, p21. 그릇되게, 보걸은 단지 자본주의만이 아니라 모든 계급 사회를 언급한다.
  37. Vogel, 2014, p15. 어떤 때에는 보걸이 144쪽에서처럼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듯하고, 다른 때에는 모든 계급 사회를 언급하는 듯하다.
  38. Vogel, 2014, p152.
  39. Ferguson, 2008, p50.
  40. Vogel, 2014, p65.
  41. Engels, 1884. 보걸이 엥겔스를 다루는 것에 관한 논의는 Ginsburgh, 2014를, 엥겔스에 관한 Brown, 2013에 관한 논의는 McGregor, 2015를 보시오.
  42. 패디 퀵은 계급 사회 이전과 계급 사회를 구분하지만 보걸은 자신의 견해를 밝히지 않는다—Vogel, 2014, p150, footnote 18.
  43. 엥겔스의 자료 중 많은 것이 구식인데, 여성과 남성 사이의 “자연스런” 분업에 대한 이해도 그렇다. 하지만 초기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사이의 관계는 평등주의적이었으며 잉여 생산에 대한 통제가 여성의 종속으로 이어졌다고 본 것은 옳다. 하먼은 인류학자 엘리너 버크 리콕과 고고학자 고든 차일드 같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작업 등의 풍부한 자료에 기초해 여성 차별의 기원을 설명한다. 하먼의 분석은 여성 차별의 출현과 엥겔스가 제시한 설명의 강점을 이해하는 데 좋은 출발점이다 — Harman, 1994. 이와 반대로, 여성 차별의 원인을 생물학적 재생산 능력에서 찾으면 여성 차별에 도전하는 것은 생산 영역을 무시한 채 사회에서 여성의 재생산적 구실에 도전하는 것이라는 견해로 이어질 수 있다.
  44. Vogel, 2014, p150. 훌륭한 활동가였을 듯한 패디 퀵은 분석에서는 분명하게 마오쩌둥주의자였다. Quick, 1977을 보시오.
  45. Vogel, 2014, p93.
  46. Vogel, 2014, p79, 강조는 나의 것.
  47. 이는 퀵과 보걸 둘 모두의 많은 구절에서 자본주의를 언급하는 건지 아니면 계급 사회 일반을 언급하는 건지 명확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해 준다.
  48. 이는 린다 J 니컬슨이 《위민즈 리뷰 오브 북스》The Women’s Review of Books에 쓴 보걸의 책에 대한 서평에서 제기한 의견이다—Nicholson, 1984. 브레너의 서평도 보라—Brenner, 1984. 보걸의 접근법은, 그 자신이 “가사노동에 관한 재고”(Vogel, 2014, p187의 부록)에서 설명하듯, 루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 이해에 기초해 형성됐다.
  49. Engels, 1876.
  50. 헤더 브라운은 이를 상세히 논의한다. Brown, 2013, pp17-27을 보시오.
  51. Marx, 1976, p283.
  52. Vogel, 2014, p147.
  53. 엥겔만은 이렇게도 언급한다. “사고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한 내과 의사가 내게 말해 주길 캐나다 인디언과 함께 8년을 거주하는 동안 그는 분만 중 어떤 사고도 알지 못했고 누가 죽었다는 것도 듣지 못했다고 했다. 3년간 오리건 인디언과 살았던 또 다른 의사는 그 시기에 어떤 이상 사례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고, 점막 파열보다 더한 심각한 수술을 해달라고 요청받아본 적이 없었다.”—Engelmann, 1883, p8.
  54. 보걸은 그 자신이 오직 계급 사회만 언급하고 있다고 반박할 수 있겠지만, 6장 “엥겔스: 결함 있는 정식화”에서 엥겔스의 설명을 파기해 독자에게 계급 사회 이전에 대한 설명은 없는 채로 남겨 놓는다—Vogel, 2014.
  55. “의학적 예방은 최소한으로 이뤄졌다. 어머니가 출산할 때에는 사냥을 하지 않거나 이동 중일 가능성이 높았다. 임신 중에도 활동은 줄어들지 않는다. 출산은 쉽게 이뤄졌고, 합병증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 이동 중에 출산이 이뤄진다 할지라도, 그는 이동을 계속할 것이다.”—Turnbull, 1965, p129.
  56. Vogel, 2014, p153.
  57. Davis, 1981, p9.
  58. Davis, 1981, p12. 카리브해 지역에서의 경험은 달랐는데 거기서는 성별 분업이 꽤 광범하게 있었다. 이 점을 알려준 조셉 추나라에게 감사하다.
  59. Davis, 1981, p10.
  60. Davis, 1981, p10.
  61. 임신한 노예들을 때리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구멍을 파고 노예들을 그 위에 눕도록 했다. Davis, 1981, p11.
  62. Davis, 1981, p10.
  63. 노예 소유주의 아내들은 가족을 통해 차별받았으며 노예 체제를 통해 이득도 봤다.
  64. 크리스 하먼은 독신 여성과 그 자녀들이 자라더라도 이 사회 전반에 만연한 차별의 효과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Harman, 1984를 보시오.
  65. 브레너와 라마스는 이렇게 주장한다. Brenner, 2000, p28을 보시오.
  66. Bennett, 1996
  67. Bennett, 1996, p26.
  68. Bennett, 1996, p34.
  69. Bennett, 1996, p149.
  70. Vogel, 2014, pp169-170.
  71. Vogel, 2014, p172.
  72. Vogel, 2014, p181. 불행히도 보걸이 알바니아, 옛 소련, 중국, 쿠바처럼 자본과 노동, 남성과 여성 사이의 불평등이 있었고 소수민족의 민주적 권리가 없었던 곳이 사회주의 사회였다고 생각한 사실 때문에 책 가운데 이 부분이 다소 망쳐졌다.
  73. 클라라 체트킨, 로자 룩셈부르크, 블라디미르 레닌, 레온 트로츠키 등이 그랬듯 말이다. 그런데 퀵도 사회적 생산에의 참여가 노동계급 여성에게 노동계급의 일부로서 해방을 위해 싸울 수 있는 사회적 영향력을 제공한다고 보지 않는다. Quick, 1977, p48.
  74. Vogel, 2014, pp174-175.
  75. Vogel, 2014, p176.
  76. 보걸은 평등권 수준에서 불평등이 줄어드는 것이 어떻게 계급 불평등을 강화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써 여성 차별을 강화시키는지를 이해하지 못한다—Vogel, 2014, p172.
  77. Vogel, 2014, p176.
  78. Lebowitz, 2003 [《자본론을 넘어서》, 1999, 백의. 이하 꺽쇠 괄호 안 숫자는 한글 번역본 페이지].
  79. 리보위츠는 마이클 부라보이를 인용한다. “두 가지 변칙이 마르크스주의를 반박하며 정면으로 맞선다. 자본주의의 내구성과 노동계급의 수동성이다.”. Lebowitz, 2003, p17[26]. 비달이 “무덤을 파는 자 테제”라고 부른 것에 관한 논의는 Vidal, 2018을 보시오. 리보위츠나 바타차리아 둘 모두 미국에서 계급투쟁의 하락에 관한 역사적인 분석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80. Lebowitz, 2003, p61 [228].
  81. Lebowitz, 2003, p161.
  82. Lebowitz, 2003, p63 [231]. 강조는 원문. 왜 지구상의 큰 굶주림이 혁명적 변화로 아직 이어지지 않았는가를 물음으로써 이 대안적 정식화에 답하고자 한다.
  83. Marx, 1864.
  84. Marx, 1852. 흔히 있는 일이지만 독일어 원본의 “Menschen”은 [영어 원문에서-번역자] “men”으로 번역되는데, “people”이라고 번역할 수도 있다.
  85. Vidal, 2018.
  86. Lebowitz, 2003, pp24-44.
  87. Lebowitz, 2003, p40 [64]. Marx, 1976, p655를 언급.
  88. Lebowitz, 2003, p40 [64].
  89. Lebowitz, 2003, p44 [71].
  90. Lebowitz, 2003, p73 [112].
  91. Lebowitz, 2003, p43. 사회적으로 필수적인 필요를 어느 순간에 알 수 있다고 해서 그것이 변함없이 유지된다는 뜻은 아니다. 이는 마르크스가 “역사적” 필요를 언급할 때의 분명한 요점이다.
  92. Marx, 1865, p26.
  93. Marx, 1865, p25.
  94. Marx, 1865, p30.
  95. Lebowitz, 2003, p75 [112].
  96. 보걸은 가사노동의 성격을 논할 때 이 구분을 언급한다—Vogel, 2014, p66.
  97. Vogel, 2017, pxi.
  98. Mohandesi and Teitelman, 2017, pp37-67.
  99. Ferguson, 2017, pp112-130. 하지만 나는 퍼거슨이 소비 사회의 영향과 시장이 학교에서의 가르침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어린이들이 점점 울타리 안에 가둬진다는 점을 소홀히 다룬다고 생각한다.
  100. [역자 주] 유럽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극우 운동 중 하나다. 이 조직은 7년 전 프랑스에서 만들어졌고, 지금은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독일, 영국 등 많은 유럽 국가들에 지부를 두고 있다. 이들은 기독교도인 백인 유럽인들의 정체성과 문화가 이민과 이슬람화로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한다.
  101. Bhattacharya, 2017c.
  102. Bhattacharya, 2017c, p68. 여기서 바타차리아는 노예제 이래로 미국의 노동계급 운동을 괴롭혀 온 극심한 인종차별적 분열을 간과하고 있는 듯하다. 마찬가지로 인종차별에 시달려 온 영국에서도 노동조합 안에서 여성과 흑인, 아시아계 노동자들에 대한 태도와 그들의 대표성이 1950년대 이래로 변화해 왔다. Prasad, 2017을 보시오.
  103. Bhattacharya, 2017c, p68와 p86.
  104. Bhattacharya, 2017c, p68.
  105. Bhattacharya, 2017c, p69.
  106. Bhattacharya, 2017c, p69.
  107. Bhattacharya, 2017c, p69.
  108. Bhattacharya, 2017c, p82에서 인용.
  109. Bhattacharya, 2017c, p86.
  110. Marx, 1855. 이 점을 알려준 알렉스 캘리니코스에게 감사한다.
  111. 이는 총리로서 마거릿 대처의 종말이 시작되는 또 다른 장점이 있었다.
  112. Lebowitz, 2003, p188.
  113. Luxemburg, 1906.
  114. Lebowitz, 2003, pp189-196. 이 때문에 리보위츠는 노동자 국가에 이르는 혁명적 과정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지 않은 채 노동자 국가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지를 논의했다.
  115. Prasad, 2017.
  116. Bhattacharya, 2017c, p86.
  117. Bhattacharya, 2017c, p89.
  118. [역자 주] 페기다는 서양의 이슬람화에 반대하는 애국적 유럽인이라는 의미로, 2014년 10월에 독일의 한 시위에서 시작된 이슬람의 폭력적 활동을 억제하는 것을 내건 극우 정치 단체와 그 활동을 의미한다.
  119. Moody, 2017, p24.
  120. Moody, 2017, pp25와 27.
  121. Moody, 2017, p60.
  122. Moody, 2017, p164와 5장.
  123. 뉴욕 같은 곳에 호텔이 집중돼 있는 것은 노동자들에게 객관적으로 상당한 경제적 영향력을 제공한다.
  124. Sherry, 2017, p75.
  125. 지도적인 파업 참가자들이 쓴 파업에 관한 전반적인 분석으로는 Høgsbjerg, Hearn, Morelli and Royle, 2018을 보시오.
  126. Arruzza, 2017, p194.
  127. 〈가디언〉의 보도를 보시오—Topping, 2017.
  128. Lenin, 1901.
  129. Bhattacharya, 2017a. 이것은 저자가 영상 기록에서 녹취한 발표 내용이다.
  130. Bhattacharya, 2017a.
  131. Bhattacharya, 2017a.
  132. Bhattacharya, 2017a.
  133. Bhattacharya, 2017a. 아일랜드인과 “최소한의 동물적인 욕구”에 대한 마르크스의 문구는 Marx, 1973, p285에서 가져온 것이다.
  134. Bhattacharya, 2017a.
  135. Bhattacharya, 2017c, p87.
  136. 이것은 내가 다루지 않은 쟁점이다. 이 쟁점에 관한 논의로는 Callinicos, 2014, pp197-198을 보시오.
  137. Marx, 1870.
  138. 바타차리아는 신자유주의의 영향에 대해 쓰면서 이런 점들 중 일부를 간접적으로 밝힌다—Bhattacharya, 2017c, p91.
  139. 이는 바타차리아에게서 인용한 구절에 함축돼 있다.
  140. Marfleet, 2018, p10.
  141. 이 마지막 요점에 대해 알렉스 캘리니코스에게 감사하다.
  142. 이는 독일에서도 진실인데, 폴크하르트 모슬러가 지적한 것이다.
  143. Cliff, 1983.
  144. 21세기 초에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인도에서 충원된 교사들은 임금과 노동조건에서 영국의 기존 교사들과 같았고 노동조합에도 가입했다. 이는 흑인 교사들이 일터에서 인종차별, 예컨대 승진 차별을 겪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145. O’Carroll, 2018.
  146. Marx, 1864. 이 출처를 알려준 폴크하르트 모슬러에게 감사한다.
  147. Marx and Engels, 1976, p48.
  148. Marx, 1864.
  149. Mosler, 2018, p12에서 인용. 번역은 나의 것.
  150. [역자 주]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끈 이탈리아 파시스트 무장 부대. 제복으로 검은 셔츠를 입었고, 사회주의 단체를 파괴하기 위해 조직됐다.
  151. Liebknecht, 1907.
  152. Engels, 1884의 “The monogamous family”.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