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천을 돕기 위하여

초기 신좌파의 마르크스주의 *


MARX21

  • 출처: Paul Blackledge, “The New Left’s renewal of Marxism”, International Socialism 112 (Autumn 2007).

  1. ‘신좌파’의 등장은 1956년 이후 국제적 현상이었다. 이 글에서는 영국의 경우만을 다룬다.
  2. T Cliff & D Gluckstein, The Labour Party: A Marxist History (London, 1996) [국역: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 책갈피(2008)], p257. 이러한 상황은 마르크스주의를 모종의 기계적 유물론으로 왜곡한 교과서와는 상반된다. 이와 달리 엥겔스는 사회주의 계급의식이 산업투쟁의 밀물과 썰물에 따라 기계적으로 성장하거나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즉, 계급투쟁은 이론적·정치적·경제적으로 다양한 수준에서 일어나며 각 수준은 다른 수준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롭다. F Engels, ‘Supplement to the Preface of 1870 for The Peasant War in Germany’ in K Marx & F Engels, Collected Works vol. 23 (Moscow, 1988), p631.
  3. 신좌파를 다룬 학술 문헌 상당수의 약점은 신좌파 정치의 이런 측면을 다른 측면보다 배타적으로 강조했다는 것이다. 예컨대 L Chun, The British New Left (Edinburgh, 1993), p191; M Kenny, The First New Left (London, 1995), pp200-206; G Foote, The Labour Party’s Political Thought (London, 1997), p296을 참조. 흥미롭게도 이들은 모두 신좌파가 마르크스주의에서 이탈하는 경로 구실을 했다고만 주장하면서,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가 사회주의 휴머니즘에 관한 신좌파의 논쟁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 것은 과소평가한다. Foote는 이 주제를 다룬 최근 저작에서 이런 약점을 약간 보완했지반, 매킨타이어의 초기 마르크스주의에 대해 논평하면서 이를 간단히 기각하는 방식으로 보완했을 뿐이다(G Foote, The Republican Transformation of Modern British Politics (London, 2006), p45).
  4. P Anderson, Considerations on Western Marxism (London, 1976)[국역: 《서구 마르크스주의 연구》, 이론과 실천(1996)], p29.
  5. D Hallas, The Comintern (London, 1985)[국역: 《우리가 알아야 할 코민테른 역사》, 책갈피(1994)], p7.
  6. L Trotsky, The Revolution Betrayed (New York, 1972)[국역: 《배반당한 혁명》, 갈무리(1995)], p32.
  7. M Reiman, The Birth of Stalinism (London, 1987), pp119; 122.
  8. M Haynes, Nikolai Bukharin and the Transition from Capitalism to Socialism (London, 1985), p110.
  9. H Marcuse, Soviet Marxism (London, 1958)[국역: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비판적 분석》, 동녘(2000)], p124
  10. 같은 책, pp17; 128; N Harris, Beliefs in Society (London, 1968), p152.
  11. N Harris, 앞의 책, p162 에서 재인용한 스탈린의 말.
  12. J Stalin, Dialectical and Historical Materialism (1938) 은 http://www.marxists.org/reference/archive/stalin/works/1938/09.htm에서 볼 수 있다.
  13. P Blackledge, Reflections on the Marxist Theory of History (Manchester, 2006), ch 2.
  14. 이 주제에 대한 내 논평은 P Blackledge, ‘What Was Done: Lenin Rediscovered’, in International Socialism 111 (Summer 2006)을 참조.
  15. N Harris, 앞의 책, p156; H Marcuse, 앞의 책, p121.
  16. CPGB, The British Road to Socialism (London, 1952). 코민테른이 혁명적 정치에서 이탈한 것은 D Hallas, The Comintern, pp106; 126; 141을 참조.
  17. J Callaghan, The Far Left in British Politics (Oxford, 1987), p163에서 재인용한 Harry Pollitt의 말.
  18. J Gollan, Which Way for Socialists? (London, 1958).
  19. A Callinicos, Trotskyism (Buckingham, 1990)[국역: 《트로츠키주의의 역사》, 백의(1994)], pp23-29.
  20. I Birchall, Workers Against the Monolith (London, 1974), pp37-8; I Birchall, Bailing out the System (London, 1986)[국역: 《서유럽 사회주의의 역사》, 갈무리(1995)], p35.
  21. D Hallas, ‘Building the Leadership’, International Socialism 1: 40 (October/November 1969).
  22. E Hobsbawm, Interesting Times (London, 2002), p127.
  23. J Saville, Memoirs from the Left (London, 2003), pp8-9; E Hobsbawm, Interesting Times, pp127-151.
  24. T Cliff & D Gluckstein, 앞의 책, pp261-270. The quotation is taken from p268.
  25. N Khrushchev, ‘The Secret Speech’은 다음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http://www.fordham.edu/halsall/mod/1956khrushchev-secret1.html
  26. H Marcuse, Soviet Marxism, p140.
  27. T Cliff, Russia: A Marxist Analysis (London, 1964)[국역: 《소련 국가자본주의》, 책갈피(1993)], pp195-204.
  28. A Callinicos, The Revenge of History (Cambridge, 1991) [국역: 《역사의 복수》, 백의(1993)], pp49-50.
  29. G Eley, Forging Democracy: The History of the Left in Europe, 1850-2000 (Oxford, 2002)[국역: 《THE LEFT(1848-2000) - 미완의 기획 유럽 좌파의 역사》, 뿌리와이파리(2008)], p334. 노동자 평의회에 대하여는 다음을 참조. A Anderson, Hungary ’56 (London, 1964), pp66-72, B Lomax ‘The Workers Councils of Greater Budapest’, The Socialist Register 1976, C L R James, ‘Letter 10th February 1957’ in A Grimshaw (ed), The C L R James Reader (Oxford, 1992), p265. 헝가리 혁명을 직접 경험한 사람이 쓴 최상의 저작은 여전히 Pete Fryer의 Hungarian Tragedy (London, 1997)이다. 더 분석적인 글을 보려면 C Harman, Class Struggles in Eastern Europe 1945-83 (London, 1988)[국역: 《동유럽에서의 계급투쟁》, 갈무리(1994)], pp119-186을 참조.
  30. 수에즈 사태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 J Newsinger, The Blood Never Dried: A People’s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London, 2006), pp164-181.
  31. N Harris, et al, ‘Labour and the Bomb’, International Socialism 1: 10 (Autumn 1962), p24.
  32. J Hinton, Protests and Visions (London, 1989), p155.
  33. P Worsley, ‘Imperial Retreat’ in E P Thompson, (ed), Out of Apathy (London, 1960), p135.
  34. Peter Sedgwick이 신좌파를 “동호인 집단milieu”이라고 묘사한 것은 유명한 일이다. P Sedgwick, ‘The Two New Lefts’ in D Widgery (ed), The Left in Britain: 1956-1968 (London, 1976), p143. 신좌파 축에 드는 사람이 신좌파를 분석한 이 고전적 논문은 원래 International Socialism 1: 17 (Summer 1964)에 실렸던 것이다.
  35. I Birchall, Workers Against the Monolith, p84.
  36. W Thompson, The Good Old Cause (London, 1992), p 100.
  37. J Saville, ‘Edward Thompson, the Communist Party, and 1956’, The Socialist Register 1994 (London, 1994), p22.
  38. 공산당 역사학자 그룹 회원들이 신좌파 형성에서 주요한 구실을 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예컨대, B Schwarz, ‘“The People” in History: The Communist Party Historians’ Group, 1946-1956’, in R Johnson et al (eds), Making Histories (Minneapolis, 1982), p84을 참조.
  39. J Saville & E P Thompson, ‘Editorial’, The Reasoner 1 (July 1956), pp1-3.
  40. E P Thompson, ‘Socialist Humanism’, The New Reasoner 1 (Summer 1957), pp105.
  41. 같은 책, p108.
  42. 같은 책, p113.
  43. 같은 책, pp132, 121.
  44. 같은 책, pp109.
  45. “1956년 2월부터 1958년 2월까지 당원 수는 33,095명에서 24,670명으로 줄었다.” I Birchall, ‘The Terminal Crisis of the British Communist Party’, International Socialism 2: 30 (Winter 1985), p75
  46. E P Thompson, ‘Through the Smoke of Budapest’, The Reasoner 3 (November 1956), reprinted in D Widgery (ed), The Left in Britain, pp72; 69.
  47. L Chun, The British New Left, p34; M Kenny, The First New Left, p58. 흔히 테일러가 마르크스의 1844년 수고를 영어권에 가장 먼저 소개했다고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매킨타이어가 자신의 책 Marxism: An Interpretation (London, 1953)에서 German Edition National Ökonomie und Philosophie를 인용한 바 있다. 이 책은 매킨타이어의 Marxism and Christianity, (Londin, 1968)의 핵심 부분을 이루게 된다.
  48. 이 점은 크리스 아서가 자신의 책 The Dialectics of Labour (Oxford, 1986)에서 자세히 설명했다.
  49. C Sparks, ‘Stuart Hall, Cultural Studies and Marxism’ in D Morley & K Chen (eds), Stuart Hall: Critical Dialogues in Cultural Studies (London, 1996), p78.
  50. S Hall, ‘A Sense of Classlessness’, Universities and Left Review 5 (Autumn 1958).
  51. R Samuel, ‘Class and Classlessness’, Universities and Left Review 6 (Spring 1959), p44.
  52. E P Thompson, ‘Commitment in Politics’, Universities and Left Review 6 (Spring 1959), p52; 다음도 참조. E P Thompson, ‘The Long Revolution’, New Left Review 1: 9 (1961), p33. 홀의 반론을 보려면 다음을 참조. ‘The Big Swipe’, Universities and Left Review 7 (Autumn 1959).
  53. 이 단락은 내 글 ‘Reform, Revolution and the Question of Organisation in the First New Left’, Contemporary Politics, vol 10, no 1 (March 2004)을 참조했다.
  54. E P Thompson, ‘The New Left’, The New Reasoner 9(Summer 1959), pp15-17; ‘Socialism and the Intellectuals’, Universities and Left Review 1(Spring 1957), p34.
  55. W Thompson, The Good Old Cause, p102.
  56. K Alexander, ‘Democratic Centralism’, The Reasoner 1 (July 1956), p9.
  57. 이 글이 톰슨에게 미친 영향을 보려면 톰슨이 쓴 ‘Socialist Humanism’, p136을 참조.
  58. 나는 신좌파와 데일리의 출마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Reform, Revolution and the Question of Organisation in the First New Left’, pp26ff에서 논한 바 있다.
  59. P Duff, Left, Left, Left (London, 1971), p128.
  60. 노동당이나 공산당이 모두 처음에는 CND의 일방적 핵 군축 요구를 반대했다. W Thompson, The Long Death of British Labourism (London, 1992), p116, and W Thompson, The Good Old Cause, p64.
  61. E P Thompson, ‘Revolution’ in Thompson (ed), Out of Apathy, p302. 페리 앤더슨은 옳게도 이 시기와 이후 톰슨의 정치가 공산당 시절에 배운 정치적 전망과 공통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P Anderson, Arguments within English Marxism (London, 1980), pp145-146; 191.
  62. E P Thompson, ‘At the Point of Decay’ , Thompson (ed), Out of Apathy, pp8-10.
  63. R Hilton, ‘Socialism and the Intellectuals—Four’, Universities and Left Review 2 (Summer 1957), p20; M Jones, ‘Socialism and the Intellectuals One’, Universities and Left Review 2 (Summer 1957), p16.
  64. R Miliband, ‘The Sickness of Labourism’, New Left Review 1: 1 (1960), p8; M Newman, Ralph Miliband and the Politics of the New Left (London, 2002), p76.
  65. R Miliband, Parliamentary Socialism (London, 1972), p346.
  66. E P Thompson, ‘Revolution Again’, New Left Review 1: 6 (1960), p19.
  67. 같은 책, p29.
  68. 나는 ‘Reform, Revolution and the Question of Organisation in the First New Left’, 29쪽에서 기묘하게 공상적인 적극적 중립주의 전략을 살펴본 바 있다. 다음도 참조하시오. P Sedgwick, ‘NATO, the Bomb and Socialism’, Universities and Left Review 7 (Autumn 1959).
  69. R Samuel, ‘Born-Again Socialism’ in R Archer, et al (eds), Out of Apathy (London, 1989), p49.
  70. J Hughes and K Alexander, A Socialist Wages Plan (London, 1958), p7.
  71. 1959년 International Socialism의 전신인 Socialist Review에 처음 공개된 논쟁에서 키드런은 알렉산더와 휴스는 어디에서도 “미래의 노동당 정부가 과거의 노동당 정부와 다를 것이라고 시사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M Kidron, ‘The Limits of Reform’ in The New Reasoner 10 (Autumn 1959), p81). 키드런의 요점은 알렉산더와 휴스가 주장한 조건을 문제 삼은 것이었다. 그는 영국 국가와 민간 자본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지적하며, 자본은 국가가 이윤지상주의를 폐기하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므로, 둘의 연관 때문에 개혁주의 전망이 실패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알렉산더와 휴스의 주장은 공상적이라는 것이 키드런의 결론이었다. 즉, 알렉산더와 휴스는 개혁의 주체인 사회 세력을, 현실과 동떨어지고 사회와 분리된 국가 개념으로 대체하려 한다는 것이다(p86). 알렉산더가 키드런은 자본주의 하에서 개혁이 불가능하다고 믿고 있다고 비판하자 (J Hughes & K Alexander, ‘Reply to Critics’ in The New Reasoner 10 (Autumn 1959), p103), 키드런은 “개혁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목적은 개혁의 실현 가능성을 부정하려는 게 아니라 개혁을 쟁취하는 최상의 방법이 혁명적 수단인가 개혁주의 수단인가 하는 물음을 제기하는 것이었다고 반박했다(M Kidron, ‘A Note on the Limitations of Reforming ‘Realism’’ in J Higgins (ed), A Socialist Review (London, 1965), p106).
  72. K Alexander, ‘Socialist Wages Plan’ in Higgins (ed), A Socialist Review, p91; J Hughes & K Alexander, ‘Kidron and the Limits of Revolution’ in Higgins (ed), 앞의 책, p103.
  73. Thompson, ‘Revolution Again’, p19.
  74. P Anderson, Arguments Within English Marxism, p136.
  75. 대표자가 전체 노동조합원 수만큼 표를 갖는 일괄 투표. 예를 들면, 광원노조에서 찬성 600표, 반대 450표로 통과됐더라도, 광원노조 위원장은 노총 대의원대회에서 노동조합원 전체의 표(1050표 + 투표에 참가하지 않은 노동조합원)를 찬성표로 던지게 돼 있다. 카드투표제라고도 한다. — 옮긴이
  76. P Anderson, ‘The Left in the Fifties’, New Left Review 1:29 (1965), p16.
  77. J Rex, ‘The Labour Bureaucracy’, The New Reasoner 6 (Autumn 1958).
  78. R Williams, Politics and Letters (London, 1979), p365.
  79. R Bulkeley, et al, ‘Fighting Against the Bomb in the 1950s and 1960s’ International Socialism 2: 11 (Spring 1981), p9; J Hinton, Protests and Visions (London, 1989), p178.
  80. R Fraser, 1968: A Student Generation in Revolt (London, 1988)[국역: 《1968년의 목소리》, 박종철 출판사(2002)], p61. Dorothy Thompson은 2002년 6월 에지힐 칼리지에서 열린 The British Marxist Historians and the New Social Movements 대회에서 연설하면서 1963년 노동당 지도부 선거에서 윌슨이 승리한 날 밤에 자신과 에드워드 톰슨, 로빈 블랙번, 페리 앤더슨이 서로 기뻐하며 축하했다고 회상했다.
  81. P Anderson, ‘Critique of Wilsonism’, New Left Review 1: 27, 1964, p22.
  82. D Thompson, ‘On the Trail of the New Left’, New Left Review 1:215 (1996), pp94-95.
  83. J Callaghan, British Trotskyism (Oxford, 1984), p72. Peter Fryer, Cliff Slaughter, Peter Worsley, Brian Pearce, Ken Coates, Peter Cadogan, Chris Pallis (aka Maurice Brinton), Bob Pennington, Alasdair MacIntyre가 그런 사람들이다. 특히 중요한 인물은 건설 노동자이자 전 공산당 산업조직자이며 집행부였던 Brian Behan이다.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는 나중에 그를 “지난 25년 동안 영국에서 가장 뛰어난 혁명적 사회주의자”라고 불렀다.
  84. L Trotsky, The Revolution Betrayed, p288.
  85. D Hallas, ‘Building the Leadership’, p30.
  86. P Fryer, Hungarian Tragedy, pp1-3.
  87. A Callinicos, Trotskyism, pp23-38.
  88. S Bornstein and A Richardson, War and the International (London, 1986), p231.
  89. D Hallas, ‘Building the Leadership’, p31.
  90. D Widgery, ‘The Double Exposure: Suez and Hungary’ in Widgery (ed), The Left in Britain, p63.
  91. E P Thompson, ‘Socialist Humanism’, pp139.
  92. M Brinton [C Pallis], ‘Revolutionary Organisation’ in M Brinton, For Workers’ Power (London, 2004), p46. 이 글은 Solidarity 1, 6 (May 1961)에 처음 실렸다. Socialisme ou Barbarie의 정치를 더 보려면, 다음을 참조. C Castoriadis, Political and Social Writings I & II (Minneapolis, 1988).
  93. D Hallas, ‘Building the Leadership’, p31.
  94. A MacIntyre, [1958-1959] ‘Notes from the Moral Wilderness’ in K Knight (ed), The MacIntyre Reader (Cambridge, 1998), p39. 이 글은 원래 New Reasoner 7 (Winter 1958-9)와 New Reasoner 8 (Spring 1959)에 나뉘어 실렸다. 매킨타이어의 초기 마르크스주의를 더 보려면 나의 글, ‘Freedom, Desire and Revolution: Alasdair MacIntyre’s Early Marxist Ethics’,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vol XXVI, no 4 (2005)를 참조.
  95. E P Thompson, ‘Agency and Choice’, The New Reasoner 5 (Summer 1958), p93; A MacIntyre, ‘Marx’ in M Cranston (ed), Western Political Philosophers (London, 1964), p106.
  96. A MacIntyre, ‘Freedom and Revolution’, Labour Review (February/ March 1960).
  97. E P Thompson, ‘Revolution Again’, p22.
  98. M Shaw, ‘The Making of a Party?’, The Socialist Register (1978), p104. 쇼의 글은 이안 버철의 글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Socialists’, International Socialism 1:76 & 1:77, (March/April 1975)을 비판하는 글이었다. 버철은 쇼의 비판에 ‘A Premature Burial: A Reply to Martin Shaw’, The Socialist Register (1979)로 답했다.
  99. T Cliff, ‘The Nature of Stalinist Russia’ in T Cliff, Marxist Theory After Trotsky (London, 2003 [1948]). 클리프의 주장은 부하린이 Imperialism and World Economy (London, 2003)에서 펼친 주장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부하린과 클리프의 이론 사이의 관계는 다음 글을 참조. P Binns, ‘Understanding the New Cold War’, International Socialism 2: 19 (Spring 1983), pp22-27.
  100. T Cliff, ‘Perspectives for a Permanent War Economy’ in Cliff, Marxist Theory After Trotsky. 이 글은 원래 Socialist Review (May 1957)에 실렸다. 다음도 참조하시오. M Kidron, ‘Reform or Revolution’ International Socialism 1: 7 (Winter 1961); Western Capitalism Since the War (London, 1968); Capitalism and Theory (London, 1974). 1950년대에 이 주장을 발전시킨 클리프의 글은 Socialist Review에만 실려 있다. 다음의 글도 참조하시오. Mike Kidron and Seymour Papert (나중에 MIT 인공지능학 교수가 됐다) collected in Higgins, (ed), A Socialist Review.
  101. T Cliff, ‘Economic Roots of Reformism’ in Cliff, Marxist Theory After Trotsky. 이 글은 처음에 Socialist Review (June 1957)에 실렸다.
  102. 같은 책, p185.
  103. T Cliff, Rosa Luxemburg (London, 1959)[국역: 《로자 룩셈부르크》, 북막스(2001)]와 ‘Trotsky on Substitution’, International Socialism 1: 2 (Autumn 1960)을 보시오. 두 글 모두 T Cliff, International Struggle and the Marxist Tradition (London, 2001)에 재수록돼 있다.
  104. A Callinicos, Trotskyism, pp79-85.
  105. E P Thompson, ‘The Point of Production’, New Left Review 1: 1(1960), pp68-70.
  106. P Blackledge, Perry Anderson, Marxism and the New Left (London, 2004), pp12-18.
  107. E Meiksins Wood, ‘A Chronology of the New Left and Its Successors, Or: Who’s Old-Fashioned Now?’, The Socialist Register (1995).
  108. E P Thompson, The Poverty of Theory (London, 1978), pp309ff. 비극이게도 매킨타이어는 이 때쯤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와 결별하고, 1968년에 분출한 운동을 엘리트주의적으로 비판하는 데 주력했다. A MacIntyre, Marcuse (London, 1970), pp61; 89.
  109. C Harman, 1968: The Fire Last Time (London, 1998)[국역: 《세계를 뒤흔든 1968》, 책갈피(2004)], pp257-261.
  110. J Saville, ‘Prospects for the Seventies’, The Socialist Register (1970), pp212.
  111. 새빌이나 밀리반드가 이렇게 변할 수 없었던 이유에 대한 내 견해를 보려면, 밀리반드에 대해서는 P Blackledge, ‘On Moving On from “Moving On”: Miliband, Marxism and Politics’ in C Barrow, P Burnham & P Wetherly (eds), Reflections on Ralph Miliband’s Contribution to State Theory (London, 2007)을 참조하고, 새빌에 대해서는 P Blackledge, ‘A Life on the Left’, International Socialism 2: 105, (Winter 2005)을 참조하시오.
  112. R Bulkeley, et al, ‘Fighting Against the Bomb in the 1950s and 1960s’, pp25-28을 참조하시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