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논쟁

《계급 이해하기》

에릭 올린 라이트의 계급론 비판 *


MARX21

  • 출처: Joseph Choonara, ,

  1. Wright, 2000, pxv. 이 서평 초안에 대해 유익한 조언을 준 알렉스 캘리니코스에게 감사한다.
  2. 찰스 틸리, 오게 쇠렌센, 마이클 만, 데이비드 그루스키와 킴 위덴, 잔 파쿨스키와 말콤 워터스가 있다.
  3. Wright, 2015a, p172(국역 p265).
  4. Callinicos and Harman, 1987을 보면 된다.
  5. 이에 관해 미국 마르크스주의자 핼 드레이퍼가 번역한 《공산당 선언》의 유명한 구절과 이 문제에 관한 더 광범한 논의를 알고 싶다면, Draper, 1978, pp613-627을 보면 된다.
  6. 이보다 일찍이 이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1890년대 독일 마르크스주의자 카를 카우츠키는 구스타프 슈몰러와의 논쟁에서 신중간계급이 노동계급과 점점 같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1909년 네덜란드 마르크스주의자 안토니 파네쿡은 “신중간계급들”이라는 제목의 글을 썼는데, 카우츠키와 반대로 이들은 기껏해야 노동계급에게 미덥지 못하고 동요하는 동맹이고 대개는 적의에 찬 적(敵)이라고 보았다. 신중간계급 문제는 로자 룩셈부르크와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사이의 논쟁에서도 중요했는데, 베른슈타인은 자본주의가 노동자와 자본가 사이의 적대를 초월할 능력을 갖고 있다는 증거가 신중간계급이라고 주장했다 — Carter, 1985, pp16-31; Burris, 1995; Pannekoek, 1909.
  7. Poulantzas, 1978, p14.
  8. Poulantzas, 1978, pp14, 16.
  9. Poulantzas, 1978, p204.
  10. 반면에 부르주아지의 정의는 너무 느슨하다. Wright, 1978, pp59-61을 보면 된다.
  11. Poulantzas, 1978, pp211-212.
  12. Poulantzas, 1978, pp213-214.
  13. Wright, 1978, p48.
  14. Poulantzas, 1978, p258.
  15. Poluantzas, 1978, p206.
  16. Poulantzas, 1978, p228.
  17. Wright, 1978, p52.
  18. Poulantzas, 1978, pp241, 236.
  19. Wright, 1978, p53; Carter, 1985, p77.
  20. Wright, 1978, pp 51, 55.
  21. Wright, 1978, pp 51-52. 또 다른 비판가가 지적하듯이, 풀란차스가 루이 알튀세르에 의존하는 것이 “융통성 없는 개념 체계와 실천에서 계급 범주의 잡다한 적용의 독특한 결합이라는 기묘한 방식[을 낳는다.] … 역사는 개념의 원통이 빙글빙글 돌 때마다 재정립될 수 있는 만화경이 된다.” — Connell, 1982, p135.
  22. Wright, 1978, p61.
  23. Wright, 1978, p62.
  24. Wright, 1978, pp62-63.
  25. Wright, 1978, p87.
  26. Marx, 1993, pp106-107. Marx, 1978, pp407-408도 보면 된다.
  27. Marx, 1978, p408.
  28. Marx, 1990, p1042.
  29. Wright, 1978, pp74, 79; Wright, 1985, pp48-52(국역 pp84-86). 이와 비슷하게 이후 저작에서 라이트는 미국 같은 나라에서 국가가 예컨대 보건과 산업안전 입법으로 경제에 개입하는 것을 생산양식들(이 경우에는 자본주의적 양식과 사회주의적 양식)의 “상호 침투” 사례로 본다. — Wright, 1994, pp244-245.
  30. Wright, 1985, p53(국역 p87).
  31. Wright, 1985, p55(국역 p91).
  32. Burris, 1999, p316.
  33. Wright, 1985, p56(국역 p94).
  34. Wright, 1989a, pp5-6.
  35. Wright, 1979, p15.
  36. 마르크스의 가치 이론에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Choonara, 2009를 찾아보면 된다.
  37. 라이트는 1980년대 중반에 “마르크스주의에 공감하는 좌파 학자 그룹들이 일 년에 한 번 모여서 서로의 연구에대해 토론했다”고 말한다. —Wright, 1985, p2(국역 p14).
  38. Levin, Sober and Wright, 1987, p84.
  39. 각각 고전 정치경제학자 데이비드 리카도와 이탈리아 경제학자 피에로 스라파의 이름을 딴 것이다.
  40. 신리카도주의/스라파주의 학파에 대한 상세한 비판이 여럿 있다. Kliman, 2007, pp41-53은 논쟁의 등장과 관련된 역사를 간략히 설명하는데, 그의 책 전체에서는 특히 시간적 차원을 고려하지 않는 관점과 가치 개념을 “물리적 산출물” 중 하나로 대체하려는 경향을 날카롭게 비판한다. Fine and Harris, 1979, 특히 pp25-48은 신리카도주의를 매우 훌륭히 비판하는데, 특히 마르크스의 착취 이론이 기초로 하는 생산과정보다는 분배과정와 유통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관점을 비판한다.
  41. Wright, 2010, p101(국역 pp154-155).
  42. Marx, 1988, p67.
  43. 라이트의 가장 초기 저작들은 훨씬 더 전통적인 가치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 예를 들어 Wright, 1978, pp111-180의 위기에 관한 논의를 보면 된다. 스라파주의 접근법을 채택한 초기에조차 라이트는 잉여가치 개념을 완전히 버리는 데 주저했다. 라이트는 잉여가치 개념을 생산에 들어간 기술적 투입물과 획득한 이윤 사이에 있는 일종의 중간 단계에 포함시켰는데, 이는 이윤율의 범위를 제약하는 조건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스라파주의자들처럼 그는 기술적 조건과 임금에서의 변화가 잉여가치 생산을 바꾸지 않고도 이러한 한계 내에서 이윤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덧붙였다. 사실 라이트가 “잉여가치를 제약 조건으로 선택한 것은 이윤을 계산하는 구체적 문제에서는 자의적이다.” 생산에 들어가는 어느 투입물이든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이윤을 제약할 수 있다. — Wright, 1981, pp44, 52.
  44. Roemer, 1982를 보면 된다. 로머에 대한 비판으로는 분석 마르크스주의의 전성기(다행히 오래전에 지나갔다) 때 쓴 Callinicos, 1987c; Callinicos, 1995, pp68-76; Houston, 1989; Howard and King, 1992, pp335-355를 보면 된다.
  45. Burris, 1989, p165.
  46. Wright, 2015a, p74(국역 p123).
  47. Lebowitz, 2009, p53.
  48. Levin, Sober and Wright, 1987을 보면 된다.
  49. Wright, 2015a, pp73-75(국역 pp123-126).
  50. Wright, 2015a, p45(국역 pp79-80).
  51. Wright, 2015a, p73(국역 p124).
  52. Wright, 1985, pp72-73(국역 pp107-108).
  53. Carchedi, 1989, p109.
  54. Carchedi, 1989, pp112. Meiksins, 1989, p176도 보면 된다.
  55. Wright, 1985, p76(국역 p114).
  56. Wright, 1994, p251.
  57. Wright, 2000, pp18-19.
  58. Carchedi, 1989, pp110-111.
  59. 관련 문헌으로는 다음을 보면 된다. Rubin, 1973, chapter 15; Kidron, 1974, pp64-67; Itoh, 1987; Rosdolsky, 1989, chapter 31; McGlone and Kliman, 2004; Harvey, 2006, pp57-61; Bidet, 2009, chapter two. 각각의 접근법들이 서로 다르고, 내 접근법도 이들과 다르다.
  60. Marx, 1990, pp135, 1035. “실질적 추상”으로서의 노동에 관해서는 Saad-Filho, 2002, pp10-12, 55-61을 보면 된다.
  61. Marx, 1990, pp618-619; Harvey, 2006, p109.
  62. 하지만 추가적 보수 또는 복잡 노동을 생산하는 데 드는 추가적 비용과 복잡 노동이 산출하는 추가 가치 사이에 필연적 관계는 없다. — Bidet, 2009, p26.
  63. Marx, 1990, p1024; Bidet, 2009, p29; Kidron, 1974, p67.
  64. 달리 말해, 가치 이론에는 기본적으로 “평등주의”가 존재한다. — Itoh, 1987.
  65. 이 문제에 관해 더 살펴보고 싶다면 Fine, 1998, pp175-200을 보면 된다.
  66. 예를 들어 Marx, 1990, p129를 보면 된다.
  67. Wright, 2000, p19.
  68. Wright, 2000, pp60-62.
  69. Wright, 1985, pp55-56(국역 p93).
  70. Cliff, 1996.
  71. Wright, 2010, p34(국역 p70).
  72. Wright, 1985, p56(국역 p93). 라이트가 스탈린주의에 특별히 호의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라이트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사회의 생산적 자원이 노동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통제되지 않았다는 면에서 스탈린주의 국가들은 사회주의가 아니었다. 그 국가들은 자본주의적 재산을 억제했고, 따라서 그 국가들의 실패는 선진국들의 인센티브와 효율성에서 자본의 사적 소유가 필수적이라는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 Wright, 1994, p241.
  73. Wright, 1985, pp79-80(국역 pp119-120). Roemer, 1986, p82도 보면 된다.
  74. Brenner, 1989, p186.
  75. Carchedi, 1989, p110.
  76. Wright, 1985, p81(국역 p121).
  77. Wright, 1985, p82(국역 p123).
  78. 소련 지배계급의 최고위층에 있던 이들을 제외하더라도, 1953년 “주요 공장 관리자”의 소득은 “미숙련 노동자”보다 “약 25~30배” 많았다. 역진세 체계를 감안할 때, 이것은 서방 세계보다 불평등이 더 심했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Bottomore, 1991, p51.
  79. Wright, 1985, p88(국역 p127).
  80. Wright, 1985, p90(국역 p130). 에런라이크 부부는 “전문가-관리자 계급”이라는 새 지배계급이 출현했다는 비슷한 견해를 공유한다. — Ehrenreich and Ehrenreich, 1979, p42를 보면 된다.
  81. Brenner, 1989, p188; Bottomore, 1991, p59를 보면 된다.
  82. Burris, 1999, p315를 보면 된다.
  83. Wright, 1989b, p191.
  84. Wright, 1985, p123.
  85. Callinicos, 1995, p193.
  86. Marx, 1990, p450(국역 pp451-452).
  87. 카르케디의 설명에 관한 라이트의 평가로는 Wright, 1980, pp361-365를 보면 된다.
  88. Marx, 1972, pp507-508(국역 p489). Marx, 1975, pp496-498을 보면 된다.
  89. Carchedi, 1977, pp58-62.
  90. 조해너 브레너는 이와 비슷한 뜻으로 다음과 같이 쓴다. “관리자는 노동과정을 조율하기 위한 권한을 행사할 수도 있고 노동자를 통제하기 위한 권한을 행사할 수도 있다.” — Brenner, 1989, p186.
  91. Carchedi, 1977, p62. 밥 카터가 그 지위를 잘 요약한다. “여전히 자본의 기능과 노동의 기능을 구분하는 것이 분석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순수한 방식으로 이런 또는 저런 기능에 부합하는 직업은 점점 줄어든다. 두 가지 기능 모두로 구성된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Carter, 1995, p40.
  92. 나는 작업장을 비생산적 자본이 아니라 생산적 자본의 하나라고 보지만, 카르케디의 설명은 비생산적 자본으로 곧바로 일반화할 수 있다. — Carchedi, 1977, pp64-65, 67-68. 덧붙이자면, 관리자 임금에 대한 카르케디의 설명은 “피고용인의 실증적 임금”은 노동력 재생산 비용과 동등하며 잉여가치를 포함할 수 없다고 하는 마르크스의 설명을 어리석게 거부하는 견해를 극복하게 해 준다.—Wright, 1994, p251을 보면 된다.
  93. Carchedi, 1977, p63.
  94. Carchedi, 1977, p63.
  95. Carchedi, 1977, pp92-96. Wright, 1979, pp36-37은 관리자층에 관해 카르케디의 연구에 의존해 그와 비슷한 관점을 보여 준다. 또한 라이트는 관리자층에 속한 이들의 소득 결정에 관해 대단히 흥미로운 설명도 하고 있다. — Wright, 1979, pp165-181.
  96. Callinicos, 1987b, p35는 신중간계급이라는 용어의 부적절함을 지적했다. 캘리니코스는 “자본과 임금노동 사이의 근본적 모순과 비교해 모호하고 중간적인 지위를 공통으로 갖고 있는 이질적인 사회 계층들의 집합”으로 보는 게 낫다고 썼다. Harman, 1987, p74도 보면 된다.
  97. Wright, 2000, p17.
  98. Wright, 1978, pp58-59. Carter, 1985, p204도 보면 된다.
  99. Wright, 2000, pp44-45.
  100. Wright, 1989b.
  101. Wright, 2015a, pp1-2(국역 pp20-21).
  102. Weber, 2013, pp926-939.
  103. Wright, 2015a, pp22-25(국역 pp51-55).
  104. Wright, 2015a, p42(국역 p77).
  105. Wright, 1994, p239.
  106. Wright, 2015a, p55(국역 p96).
  107. Marx, 1990, pp163-177.
  108. Wright, 2015a, p2(국역 p21).
  109. Wright, 2015a, p2(국역 p21).
  110. 계급에 관해 고전 마르크스주의 전통을 상세히 요약하고 옹호하는 주장을 보려면 Choonara, forthcoming 2017을 보면 된다.
  111. Wright, 2015a, pp142-155(국역 pp222-240).
  112. Wright, 1978, pp220-221.
  113. Trotsky, 1972, p105; Cliff, 1996, pp178-200.
  114. Wright, 1978, pp224-225. 당내 민주주의는 성장하던 스탈린주의 관료에 맞서 트로츠키가 이끈 반대파의 요구 중 하나였지만, 이것 하나만으로는 사회주의 사회로 이행할 물질적 기초가 부재한 상황에 대처할 수 없었다. 트로츠키가 지적했듯이, 그 물질적 기초는 국제적 지형 하에 있었다. 따라서 러시아 혁명은 혁명이 러시아 땅을 넘어 국제적으로 확산되느냐에 달려 있었다. — Trotsky, 1962를 보면 된다.
  115. Wright, 1978, p230. 이에 대한 비판으로는 Harman and Potter, 1977을 보면 된다.
  116. Birchall, 1986, pp142-152.
  117. Wright, 1994, p243.
  118. Wright, 1994, p245.
  119. Wright, 2010, p321(국역 p441).
  120. Wright, 2015a, p186(국역 pp284-285). 국역본은 ‘associational power’를 ‘단결력’으로 번역했다 ― 옮긴이.
  121. Wright, 2015a, p239(국역 p355).
  122. Wright, 2015b.
  123. 이러한 몇몇 경험들에 대한 대차대조표로는 Gonzalez, 2013을 보면 된다.
질문/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