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특집: 마르크스주의 계급 이론

마르크스 계급 개념의 핵심 쟁점들


MARX21

  1. 최인섭·이상용·기광도 1999, pp80~82. 이 조사·연구 보고서는 우리 나라와 영국 모두에서 범죄가 경제 상황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를 각종 통계 수치로 잘 보여 준다.
  2. ‘마르크스가 바이데마이어한테 보내는 편지’, 1882년 3월 5일. 마르크스가 말한 부르주아 역사가들과 경제학자들은 리비, 마키아벨리, 애덤 스미스, 시스몽디, 티에리, 기조, 티에르, 카알라일 등이다. 에른스트 피셔(편집) 1990, p77.
  3. 캘리니코스 2009, p132.
  4. 톰슨 2000, p7.
  5. Hobsbawm 1971, p6.
  6. Jacques & Mulhern (eds) 1981, pp284~286.
  7. 1962년 1월의 연설.
  8. 엘리어트 1992, pp289~303.
  9. 1963년 5월의 연설.
  10. 마르크스 1991, pp266~267.
  11. 마르크스 1991, p159. 번역은 내가 조금 수정했다. 《공산당 선언》에서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고대 그리스·로마 사회의 계급투쟁이 노예와 노예 소유자들 사이에서 일어났다고 해야 했을 것을 “자유민과 노예” 사이에서 일어났다고 했던 것은 사소한 잘못이다.(맑스·엥겔스 1998, p3) 자유민(시민)의 대다수는 노예를 소유하지 않았다. 노예와 자유민의 차이는 계급의 차이가 아니라 단지 법적 지위의 차이일 뿐이다.
  12. 마르크스 1990, p175.
  13. 맑스·엥겔스 1990, p295. 번역은 내가 영어판에 의거해 다소 수정했다. 그런데 우리 나라의 노동계급은 1980년대 후반부터 ― 1987년 7~8월 대파업을 기점으로 잡는 것이 무난할 것이다 ― ‘대자적’이 되기 시작했다. 내가 방금 “시작했다”고 표현한 것은 이것이 하나의 과정이며 지금도 우리는 이 과정 속에 있음을 암시하기 위해서다.
  14. Jacques & Mulhern (eds) 1981.
  15. Jacques & Mulhern (eds) 1981.
  16. 맑스·엥겔스 1992, p478.
  17. Marx & Engels 1976, p348.(독일어 원서는 1845년 봄에서 1847년 봄 사이에 쓰였다.)
  18. Meillassoux 1973, pp89~111. 특히 p100.
  19. 마르크스 1990, pp536~543.
  20. Carter 1979, p101.
  21. 가령 김석준·박형준 외 1999.
  22. 조돈문 2011.
  23. 마르크스, 1990, p273.
  24. 마르크스 1988. p62.
  25. Croix 1983, pp52~54.
  26. Croix 1983, pp255~259.
  27. Shanin (ed) 1971, p17.
  28. Marx & Engels 1970, p625.
  29. Marx & Engels 1970, pp637~638.
  30. Hilton 1975.
  31. 착취 형태에 대한 이러한 개념은 Croix 1983, pp205~208.
  32. 로라 라파르그(마르크스의 딸)에게 보낸 엥겔스의 편지(1886년 10월 2일). 드레이퍼 1986, p199에서 재인용. 또, 엥겔스 1988, pp146~147.
  33. 마르크스 1990, pp972~973. 영어판과 대조해 내가 번역을 약간 수정했다.
  34. Lenin 1965, pp70~107.
질문/의견